demtal IQ

충치 이름이 진짜 충치일까요?(치아우식증)

meriming 2020. 10. 27. 23:19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느 날 거울을 보았는데 입속에 검은 게 보입니다.
그리고 초콜릿을 먹었는데 시큰합니다.
이걸 느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뭐라고 하나요?
충치.

울산새얀치과 참고


충치는 풀어쓰면 벌레가 치아를 먹었다는 말입니다.
마치 잎사귀를 먹은 벌레처럼 말이에요.
그렇게 보인다는 거지 진짜 그렇다는 건 아닐 거예요.

그럼 충치의 진짜 병명은 뭘까요??
치아우식증’입니다.

치아우식증은 치아의 단단한 부분이 파괴되고 안쪽에 물렁한 부분까지 파괴되는 치아결손을 말합니다.
소아든 성인이든 노인이든 자연치아가 존재한다면 누구도 치아우식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람에게 가장 많이 생기는 만성질환이라는 거죠.

치아는 매일 세균성 산이나 과일주스, 식초, 산성 음식, 탄산음료, 칫솔질로 인해 단단한 부분이 파괴될 위험에 노출됩니다.
이런 게 아니면 치아가 파괴가 안될까요?
엄밀히 말하면 치아는 파괴되고 다시 단단해지는 걸 반복합니다.
저 모든 생활 속 위험을 제한한다면 자연스럽게 파괴되고 몸에 불소나 칼슘으로 다시 보충을 합니다.
이런 적절한 균형은 정상적인 치아가 건강하게 유지되는 것에 꼭 필요합니다.


궁금하지 않겠지만 치아우식증의 역사가 언제부터인지 생각해보셨나요??
왜 사람들이 충치라고 말하기 시작했을까요.

치아우식증은 인간 역사만큼 오래되었다고 해요.
아마 가장 오래되고 기발한 첫 이론은 발생설입니다.

치아 치료에 대한 정성. 그이야기 참고


치아에 벌레가 살고 있어서 그렇다고 초기 의사들은 주장했어요.
하지만 아무도 벌레가 어떻게 들어갔는지는 설명할 수 없었어요.
1700년대에 들어서 이 발생설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생기설: 결함이 있는 치아의 염증이 표면으로 올라와 병을 일으킨다.
이렇게 마무리되는 줄 알았으나
1835년 영국의 치과의사가 처음으로 말했어요.
“음식물이 남아있고 그것이 발효되는 게 원인이 아닐까?” 19세기 말. 유럽 의사들도 동조했어요.
그리고 1890년 독일. 치아우식증의 원인으로 화학 세균설이 등장했습니다.

실험 결과 치아로부터 석회염이 추출됐습니다. 이건 세균 산생성의 결과이며 치아우식증의 첫 단계라고 합니다.
비록 이 이론은 음식물 찌꺼기 막을 설명하는 데는 실패하였지만
다른 이론과 종합하면 설득력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게 오늘날 치과 쪽에서 받아들여진 이론입니다.
-역사 끝-


치아우식증은 왜 발생되는 걸까요?
저도 이쪽을 공부하기 전 궁금했습니다. 양치 잘 안 하는 사촌 동생은 충치가 없는데 왜 나는 양치 잘해도 충치가 생길까.
이건 세 가지 요인이 있어요.

-숙주 요인: 인체의 특성
1. 치아 요인: 치아의 형태, 특성, 위치, 배열
2. 타액 요인: 얼마나 침이 나오는지, 삼키면 바로 침이 나오는지.
3. 입안 외의 신체 요인: 종족, 유전, 성별, 발육장애, 정서, 나이

-병원체 요인: 입안 세균

-환경요인: 입안, 밖 관리에 영향
1. 입안: 입안 환경, 온도, 음식물 찌꺼기 막
2. 입 바깥: 자연환경(불소 농도, 기온), 사회환경(경제 수준, 습관, 의식 수준, 제도, 진료, 전쟁)

이중에 환경요인만이 개인이 건들 수 있는 요인입니다.
관리가 이쪽에 들어가는 거죠.


어떠한 원인으로 치아우식증이 생겼습니다.
어디에 생기는지. 알아볼게요.

소와 열구 우식증: 어금니의 씹는면 등의 좁은 부분에서 주로 발생.
평활면 우식증: 건전한 치아 표면 평평한 곳에서 발생합니다.
치근우식증: 치아 뿌리 어느 부분이라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침이 적어지는 노년기에 많이 발견돼요.)
이차 우식증: 치료한 부분 주위에 생긴 건데 침이나 음식물이 들어가 발생합니다.


치아우식증이 생겼을 때 언제는 가볍게 때울 수 있다고 하고 언제는 씌워야 한다고 합니다.
이 차이는 치아우식증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그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닥터홍치과 참고


단계별로 설명드리면.
초기 우식증(c1): 치아의 겉표면 단단한 부분에만 치아가 파괴된 경우.
-
진전 우식증(c2): 단단한 부분 바로 안에까지 치아가 파괴된 경우.
-
치수 침범 우식증(c3): 치아 신경까지 침범된 경우.
-
치근 침범 우식증(c4): 뿌리까지 침범된 경우.

각 단계마다 예방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다음 글에서 올리겠습니다.
충치=치아우식증은 사람이 겪는 만성질환으로 나눠서 올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