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CQUIRE meriming

치약도 종류가 있어요. 뭐가 다를까요?(치약) 본문

demtal IQ

치약도 종류가 있어요. 뭐가 다를까요?(치약)

meriming 2020. 10. 26. 23:18
728x90
반응형



치약은 치아 표면을 닦기 위해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 사용하는 보조 재료입니다.
비누나 세제와 같은 분류인 의약부외품입니다.
(최근 팔고 있는 약리작용을 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된 약용 세치제에 한해서는 의약품에 속합니다.)

 

 

 


치약의 또 다른 이름은 세치제입니다. 영어로 Dentifrice.
치아의 dens와 문지르다의 fricare에서 유래됩니다.
어려워 보이지만 요즘은 칫솔과 같이 치아에 사용되는 물건인 치약으로 간단하게 정의되죠.

예방치료용 치약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입니다.
바로 음식물찌꺼기 막을 제거해 충치와 잇몸병을 감소시키는 거죠.


치약은 분말형, 크림형, 젤 형태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것들은 모두 예방치료용 또는 심미용입니다.
하나하나 살펴보면.

액상 치약: 세마제(스케일링처럼 치아의 겉표면을 깨끗이 하는 것.)가 포함되지 않아서 잇몸이 내려가거나 시린 이가 있는 사람에게 권장됩니다.

분말 치약: 액체 성분이 포함되지 않고 분말형태로 되어있습니다.
마모도(치아가 갈리는 정도)가 높아 착색 제거에 효율적입니다. ex) 소금

크림형 치약: 크림 형태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태입니다.
입자를 최소화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형 치약: 버터같이 세마제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럽의 일부 국가만 판매되고 있습니다.

 

오피스 네어 참고

 


(치약의 포장도 중요해졌습니다.
판매가 촉진되면서 많은 사람에게 안전하게 주기 위해 플라스틱 포장재로 바뀌었습니다.
플라스틱 포장재의 특징은
- 소비자가 납을 섭취할 가능성 제거
-튜브와 치약 성분이 안 맞을 가능성 감소
-튜브에서 치약을 꺼내기가 쉬움
-쉽고 경제적으로 생산 가능)


치약은 원래 심미적 효과와 상쾌함을 전달하기 위해서 개발되었고 치아면에 발생되는 착색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착색은 음식, 음식물 찌꺼기 막, 흡연으로 인한 착색을 말합니다.
불소증이나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착색은 지울 수 없습니다.

 

서울올바른치과 참고

 


흡연이나 음식과 같은 착색을 지울 수 있는 치약의 성분은 뭘까요?

1. 마모제(세마제)
마모력은 경도나 입자의 크기 및 모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칫솔질 방법이나 칫솔에 가해지는 힘, 동작에도 영향이 갑니다.
치약의 적정 마모력은 최대보다는 최소가 좋아요.
그 사람의 치아 표면의 음식찌꺼기 막을 효율적으로 완전히 제거하고, 다시 음식물 찌꺼기 막이 붙지 않도록 하는 수준이에요.

2. 세제
필수 성분입니다.
치아 표면에 있는 음식물 찌꺼기 막을 약하게 해서 쉽게 떨어지도록 하고,
세제의 거품 작용이 음식물을 뜨게 해 제거를 도와줍니다.
이러한 세제는 독성이 없고 중성이어야 안전합니다.
오늘날 우리가 쓰는 치약은 SLS라고 해서 안정되어 있고 약간의 항균성을 가집니다.
여기서 알 수 있든 세정작용은 4단계로 설명됩니다.
침투 작용- 흡착 작용-부화 작용- 분산 작용
(입안의 미세한 틈에 들어감- 치아에 붙음- 오물을 부화시킴- 다시 붙지 않도록 함)

3. 방부제

4. 결합제
성질이 서로 다른 치약 안에 구성 성분이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분리되는 형상을 막아줍니다.
이 또한 안정적이면서 독성이 없게 시판됩니다.

5. 향미제

6. 감미제
옛날에는 설탕과 꿀로도 이용했었지만 이것은 충치를 유발할 수 있었어요.
그래서 충치를 일으키지 않는 단맛이 필요했죠.
그것이 자일리톨입니다.

7. 습제
치약이 고체화가 되지 않게 만들어줍니다.


이제 중요한 부분입니다.
나는 어떤 치약을 사용해야 하지?

 

 
개인의 관리, 습관, 상태를 고려해서 선택해야 합니다.
건전한 치아와 잇몸을 가진 사람이지만 음식물 찌꺼기 막이 많고, 관리 능력이 부족한 경우 마모도가 높은 치약을 선택합니다.
이와 달리
잇몸질환으로 인해 치아의 물렁한 부분이 노출되고 치아가 파여있는 사람은 마모도가 약한 치약을 선택합니다.

특히 치아가 파여있는 사람은 마모도가 높은 치약 사용을 피하고 횡마법으로 칫솔질을 하는 경우 이 칫솔질을 반드시 바꿔야 합니다.
혹시 시린 증상을 과하게 느끼는 경우는 불소가 함유된 치약을 선택하세요.

회전법 칫솔질 저의 전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어린이와 충치가 많은 사람도 충치 예방을 위해 불소가 들어있는 치약을 권장합니다.


네 이것으로 치약 이야기가 끝났는데요.
어떠셨나요?? 도움이 되셨나요??
시린 증상이 많은 사람은 본인의 치약을 보고 불소가 들어가 있는지, 마모도가 높지는 않은지 확인해보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