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CQUIRE meriming

충치의 진짜 이름(치아우식증 part 2) 본문

demtal IQ

충치의 진짜 이름(치아우식증 part 2)

meriming 2020. 10. 28. 23:3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제 마지막 글의 내용을 기억하시나요??

 

간단히 설명하자면

치아우식증은 치아의 단단한 부분이 파괴되고 안에 물렁한 부분까지 파괴되는 치아결손입니다.

이것은 남녀노소 자연치아라면 누구나 생길 수 있고 사람에게 가장 많이 생기는 만성질환입니다.

 

전의 포스트에서는 치아우식증의 역사, 발생하는 이유, 원인, 어디에 생기는지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초기우식증, 진전 우식증, 치수 침범 우식증, 치근 침범 우식증에 대해 말한다고 했죠.

오늘 내용도 치아우식증을 이어서 말하겠습니다.

이 전 게시글을 보고 오시면 좀 더 이해가 될 거예요.

치아우식증에는 c1~c4가 있다고 말했었어요.
C0은 이상이 없는 자연치아
C1은 초기 단단한 면 우식증
C2은 치아의 물렁한 부분 우식증
C3는 치아의 신경 침범 우식증
C4는 뿌리 끝 병소

하나하나 어떻게 예방하고 관리해야 하는지 살펴볼게요.

 

 


C0은 자연치아예요. 치아우식증이 없는 상태로 사실상 치료를 받을 건 없습니다.
대신 치아우식증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에 많이 신경써줘야 해요.
병원에 내원해 스케일링이나 칫솔질교육을 받거나 실란트, 불소를 해야 합니다.

C1은 치아의 단단한 면 우리가 눈으로 봤을 때 보이는 하얀 면에 치아우식증이 생긴 걸로
까만 점 정도예요.
보통은 지켜볼 수 있는 상태로 더 이상 치아우식증이 더 커지지 않게 관리해야 합니다.
스케일링, 실란트, 불소로 예방을하고, 이 점이 신경 쓰인다면 레진치료까지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C2는 단단한 부분 안쪽의 물렁한 부분까지 치아우식증이 진행된 경우입니다.
삼각형 모양으로 넓게 퍼져 치료가 필요하게됩니다.
얼마나 크고 깊냐에 따라 틀리지만
가볍게 때우는 레진치료나 본을 떠서 제작해야 하는 인레이, 크라운까지 갈 수 있습니다.

C3는 신경까지 치아우식증이 침범한 경우입니다.
이미 신경까지 들어갔기 때문에 아프고 시린 경우가 많으니 신경치료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신경치료를 한 다음에는 치아가 많이 약해져 있으니 크라운까지 진행을 해야 합니다.


C4는 치아 뿌리 끝에 염증이 생긴 걸로 이 또한 신경치료를 하며 염증을 빼거나
심각한 경우 이를 빼야 하는 상태까지 갈 수 있습니다.


이런 치아우식증. 특징이 대체 뭘까요?
치아우식증은 범발성 질환입니다. 모든 인간 집단에서 발생하고,
생긴 지 오래되도 진행이 안 되는 정지 우식일 수 있어서 유병률과 진행률의 차이가 있습니다.
게다가 나이가 먹을수록 본인이 치아우식증 경험이 많아져 연령과는 정비례합니다.


치아우식증이 진행되는 건 세 가지 특징적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치아의 단단한 명의 조직학적 변화가 나타나는 초기 병소입니다.
-
2. 치아의 안쪽 물렁한 면을 포함할 수도 있는 걸로 탈회라고 합니다.
-
3. 치아를 삭제할 수도 있는 명백한 병소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초기 병소를 보통 사람이 발견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초기 병소는 치아 바깥면과 안쪽면 위에 있는 불투명한 하얀색 반점이 조금씩 나타나거나,
잇몸 쪽으로 확장되면서 음식물이 끼는 부위가 많이 생깁니다.

 

임플란트인치과의원 참고

 


치아의 사이면의 초기 치아우식증은 엑스레이 사진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잇몸 아래 방향의 접촉점으로부터 시작해 점점 위에 씹는 면 쪽 방향으로 발전을 합니다.

가끔 치아우식증은 양쪽 또는 한쪽 벽을 따라 시작되기도 합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제일 바깥의 손실이 관찰되는 표면 손상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 표면층은 단단하며 병원에서도 증상이 보이지 않아 발견할 수 없죠.
그렇지만 미세한 구멍이 틈을 타서 확장이 시작됩니다.

이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탈회가 진행될수록 구멍의 크기는 커지고
다시 단단하게 하려는 현상이 일어나면 이는 반대로 작아집니다.
이러한 초기 증상은 표면층, 병소 본체, 불투명층, 반투명층 네 부위로 설명됩니다.

 

예방치과학 참고

 


치아 삭제가 시작되면 표면층이 손상되며 이 구분은 힘들어지고 치과 치료가 필요해집니다.

내용이 점점 어려워지지만 최대한 풀어쓰고 있는데
괜찮으신가요?
내일은 이 네 가지 구분에 대해서 얘기를 시작해볼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