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CQUIRE meriming

임플란트? 그거 어떻게 생긴거지?(임플란트의 구조) 본문

demtal IQ

임플란트? 그거 어떻게 생긴거지?(임플란트의 구조)

meriming 2020. 11. 7. 22:1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시 치과 얘기로 돌아왔습니다.
치아를 빼게 되면 요즘은 틀니보다는 임플란트를 추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 이유는 더 자연스럽고 편안하며 환자 본인이 만족하는 성공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씹는 기능을 높이고 그 부분에 충치가 생길 위험이 없으며 시릴일도 없죠. 

하지만 모두에게 적합한것은 아니며 턱뼈와 결합해야 하므로 사람의 뼈가 반드시 건강한 상태여야 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병원에 내원하면 의사가 추천은 하지만 어떤 구조인지 설명을 들어도 이해하긴 힘들 거예요.
그래서 임플란트가 어떤 구조로 되어있는 건지 각 명칭은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치과의 임플란트는 치과 의사가 사람의 턱의 뼈에 식립 하는 인공 구조물입니다. 전형적으로 티타늄으로 만들어졌어요. 

이것은 빠진 치아를 대신하는데 나사모양의 장치로, 의사는 턱뼈에 임플란트를 심고, 크라운이라고 불리는 인공치아를 올립니다.

하지만 그냥 올리는것은 아닙니다. 어부트먼트라고 불리는 장치를 크라운과 임플란트 뿌리 부분 사이에 연결시키는 거죠.

 

(턱뼈가 충분하지 않고 임플란트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경우, 뼈를 다시 만들고 자연적인 턱뼈를 회복하여서 임플란트의 지지를 위한 여러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fixtur(픽스쳐), abutment(어부트먼트), crown(크라운)

 


뼈 안에 심는 고정체
영어로 fixture(픽스쳐)
치아 뿌리에 해당합니다.

임플란트의 몸체에 존재하는 나사(screw)는 위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담당하는
가장 강력한 매개체로 다양한 크기, 형태, 나사 수, 깊이를 가집니다.

나사 수는 어떤 차이가 있느냐.
적으면 심기가 편하고
많으면 임플란트의 표면적을 증가시켜서 뼈에 잘 붙게 도움을 줍니다.
여기에 나사의 깊이가 깊을수록 임플란트에 힘이 가해질 때
힘의 분산에 용이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힘의 대부분을 잇몸라인 쪽 부분이 담당하므로 꼭 유리한 것만은 아닙니다.

노란부분이 지대주


잇몸 위로 노출시키는 지대주
영어로 abutment(어부트먼트)
이건 뼈 안에 있는 픽스쳐와 크라운을 이어주는 부분이죠.

그리고 보철물 크라운(crown)
우리가 알고 있는 치아 모양의 보철물입니다.

이렇게 보면 너무 간단하죠?
벌써 구조는 끝났어요.

추가로 임플란트 수술 1회 법과 2회 법에 대해 말해볼까요.
왜 주위 얘기를 들어보면 누군 수술 한 번에 끝냈다 하고 누구는 여러 번 왔다고 하는 걸까요?
이건 수술을 한 번에 끝내는 것과 수술을 2번에 나눠서 하는 것을 얘기하는 건데

1회 수술법은 임플란트를 뼈에서 잇몸을 거쳐 잇몸 밖까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2차 수술이 필요 없는 것입니다.

1회 수술법을 시행할 경우 수술 횟수가 감소되고 잇몸의 이차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실패 예후를 비교적 쉽게 예측할 수 있고, 실패한 경우에도 심각한 손실을 피할 수 있습니다.


2회 수술법은 임플란트를 뼈 안의 픽스쳐(고정체)와 잇몸 및 잇몸 밖에 위치하는
지대주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 것이죠.
고정체를 잇몸 하방에 묻어 둔 후 2차 수술을 거치게 됩니다.
쉽게 말해 뼛속에 아무것도 닿지 못하도록 꼭꼭 묻어놨다가
뼈가 굳고 단단해지면 위와 이어주는 겁니다.

이렇게 보면 2회 수술법이 필요가 없나 싶을 수 있습니다.
나도 1회만 하고 싶다고 얘기할 수도 있죠.
누가 힘든데 수술을 여러 번 하고 싶겠어요.

 


하지만 이건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하고 싶어도 못할 수 있습니다.
뼈가 많이 부족하여 뼈이식을 하는 경우 픽스쳐가 뼈에 붙어야 하기에
구강 밖과 이어주는 1차 수술을 한다면 혀나 환경에 의해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심지어 상대 쪽 치아와 닿을 수 있어 더욱 위험하죠.

그래서 이는 의사의 판단 아래 진행되어야 합니다.


임플란트 구조는 간단히 3가지로 나뉩니다.
여러분도 혹시 상담을 받는다면 정확히 자신이 어떤 걸 하는지 어느 부분을 하기 위해 본을 뜨는지
알고 하시는 게 좋아요.
그러면 치료과정이 왜 늦게 되는지 혹은 빨리 되는지 이해가 훨씬 잘됩니다.

감사합니다.

임플란트학 참고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