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CQUIRE meriming

치면세균막? 음식물 찌꺼기 막? 이게 뭐지?(치면세균막, 치석) 본문

demtal IQ

치면세균막? 음식물 찌꺼기 막? 이게 뭐지?(치면세균막, 치석)

meriming 2020. 10. 31. 00:0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가 항상 말하는 음식물 찌꺼기 막 기억하시나요?
음식물 찌꺼기 막이 남아있을 수 있으니 양치를 열심히 해야 한다고 말했었는데요.
오늘은 이 음식물 찌꺼기막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치면세균막이라고 불리는 음식물 찌꺼기 막이 있습니다.

세균은 우리의 생태계 안에서 각 특성에 따라 뜨거나 붙는 삶을 살아가고 있는데,
그중 표면에 붙어 생물막을 형성하는 세균들이 있습니다.
이 생물막을 만들어서 여러 환경적인 요소에 대해 저항력을 키워 살아남았습니다.
미생물에 의해 생긴 생물막은 어디서나 발견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렌즈, 틀니 등등 보철물에서도 볼 수 있죠.
이렇게 대부분의 표면은 군막으로 덮여있는데 치아도 마찬가지입니다.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은 사람을 괴롭히는 질환으로 유명한데
이 둘은 세균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어요.
여러 종류의 세균이 치아에 붙고 쌓여 치면세균막을 만듦으로써 발생합니다.


치면세균막은 여러 종의 세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치면세균막마다 서로 다른 분포를 보입니다.
치면세균막 속의 세균들은 세포간기질에게 불러 싸여 있습니다.
타액으로부터도 생기지만 주성분은 탄수화물의 다당류에 의해 생깁니다.
다당류는 설탕 섭취 시 가장 많이 형성되는데 세균이 설탕을 분해시키면 큰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다당류가 분자가 크면 우리 타액의 자정작용에 의해 쉽게 제거가 되지만 분자가 작으면 타액으로는 부족합니다.
그래서 양치를 해야하는거죠.




치면세균막이 성숙(=진화)되는 마지막 단계는 치석입니다.
치면세균막이 석회화 즉 굳어서 형성되는 거예요.
사람에 따라 치석이 형성되는 정도는 다 달라요.
전혀 생기지 않는 사람도 있지만 아주 심하게 형성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면세균막은 형성된 후 며칠이 지나면 석회화가 시작되지만 모든 치면세균막이 굳는 건 아닙니다.
보통 석회화는 치면세균막에서 시작되지만 결국 세균 내부에서도 석회화가 일어납니다.)


치석 자체는 몸에 나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아주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세균이 치석에게 붙어있으면
앞으로 구강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석은 칫솔질이나 치 실질로는 제거되지 않아요.
특히 부드러운 치아 내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치석을 모두 제거하기는 힘듭니다.
그렇다고 안 할 수는 없어요.

치석은 치은연상과 치은연하로 나뉩니다.
각 특징이 달라요.
치은연하는 약 60% 정도 석회화되어 있으며, 치은연상은 30% 정도만 석회화되어 있습니다.
치은연하는 연상보다 좀 더 단단하고 작으며 치아에 딱 달라붙어있기 때문에 제거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리고 염증성으로 나오는 성분에서 유래되어 회색이나 검은색으로 나타나며 단단한 질감을 보입니다.
치은연상은 분필 같은 질감을 가지고 노랗거나 하얀색입니다.

좌 치은연상 우 치은연하


치은 연상 치면세균막이 석회화가 되어 치석으로 되기 전까지는 칫솔질이나 보조기구를 통해 제거할 수 있습니다.
치면세균막이 오래된 것일수록 칫솔질만으로는 제거하기 힘들어져요.
한 연구에 의하면 치면세균막이 형성되고 하루, 이틀, 삼일이 지나고 치면세균막을 없애봤는데
결과는 일단 치석이 생기면 치과용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한다는 것이에요.

치석은 타액 성분과 흡연으로 인해 생기기도 하고, 전신적 요인이나 음식 섭취, 약으로 인해 생기기도 합니다.
약의 경우 타액을 통해 분비되어 치석으로 굳히는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치아는 완전히 매끈한 게 아니에요. 항상 흠집이 있습니다.
이렇게 울퉁불퉁한 상태는 매우 정상적인 구조인데,
탈회=하얗게 치아우식이 되는 과정의 치아면에 치석이 좀 더 잘 붙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나라에서는 이러한 치석제거를 해야 하기에 1년에 한 번씩 스케일링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스케일링을 해서 치은연상 치석을 제거하고 이걸로 부족하다면
손상되거나 상실된 잇몸의 재생을 유도하기 위해 잇몸치료까지 해줘야 합니다.

흡연을 하거나 잇몸이 안 좋은 경우에는 6개월에 한 번씩으로 권장하기도 하니 병원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