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CQUIRE meriming

치과 크라운 보철물 종류를 알아보자 (crown 크라운, bridge 브릿지 , denture 틀니) 본문

demtal IQ

치과 크라운 보철물 종류를 알아보자 (crown 크라운, bridge 브릿지 , denture 틀니)

meriming 2020. 11. 13. 23:2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치과에서 씌우는 치료 많이들 해보셨을 겁니다.
이제는 일반인들도 친근한 단어인 크라운.
흔히들 금니, 도자기로 나뉜다는 걸 알고 있을 거예요.
오늘은 그 이상으로 브릿지와 틀니 종류별로 알아볼게요.


보철물은 완전히 접착제로 붙이는 고정성 보철물과
뺏다 꼈다를 할 수 있는 가철성 보철물로 나눠져요.


우선 고정성 보철물을 살펴볼게요.

첫 번째로 crown 크라운.


크라운은 치아우식증(충치) 또는 치아머리 파절로 인해 치아에 결손이 큰 경우
이를 채우고 전부 덮어서 원래의 형태와 기능을 하게 하는 장치입니다.

앞니와 작은 어금니는 웃을 때 보이는 스마일라인에 포함되어 심미적으로 고려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자연치아와 색이 비슷한 재료를 사용하게 되죠. 이것이 심미보철입니다.

구치부 즉, 큰 어금니는 기능적인 면을 고려해 씹는 힘에 따라 더욱 강한 금속을 이용하여 전부 덮어주는 보철을 해야 합니다.

심미 보철은 색조 및 투명감이 자연치와 유사한 도재를 이용해 씌우는 보철물로


변색된 치아, 사이가 벌어진 치아, 배열이 불규칙한 치아 등으로 인해 심미적이지 않은 경우 쓰게 됩니다.

라미네이트는 앞니의 모양과 색을 개선하기 위해 치아의 바깥면을 개선하기 위해
치아를 최소한으로 삭제해 얇은 도재판을 만든 후 치아에 접착하는 것입니다.

완전히 씌우는 크라운의 재료에는 보통 치과에 있는 게
PFM, Zirconia, Gold가 있습니다.

가볍게 적자면

서울스페셜치과 참고

PFM은

내부는 메탈로 만들어 단단하고 심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위는 도자기로 씌운 치아를 말합니다.

내곡웰치과 참고

Zirconia는

만들어진 지 오래된 재료는 아닙니다. 일반 도자기와는 틀려 쉽게 깨지지 않고
금니= 골드 크라운처럼 강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게다가 치아색이기 때문에 심미적으로도 뛰어납니다.

Gold=금

예로부터 많이 쓰인 재료입니다.
생체친화성이 뛰어나고 깨지지 않기 때문에 단단한 걸 즐겨먹는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브릿지(bridge)
브릿지란 1개 이상의 치아가 상실된 경우 그 상실치 양쪽의 건강한 치아에 크라운을 제작하고 인공치를 연결한 보철물입니다.
2개 이상의 자연치아가 양쪽에 있어야 하고 1개 이상의 인공치를 갖고 이를 연결하는 구성입니다.
인공치는 결손 된 치아의 인공 대체물이라고 생각하면 되죠.
재료는 위의 크라운과 같이 나뉘어있습니다.



가철성 보철물은 장착과 제거를 할 수 있는 보철물로 틀니가 해당됩니다.
틀니도 부분틀니와 완전틀니로 나뉩니다.
부분 틀니는 다수의 치아를 상실하거나 뒤의 자연치가 없는 부분 무치악 사람에게 적용합니다.
남아있는 건강한 자연치를 보전하여 씹는 것과 발음 등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킵니다.

잔존 치아가 많은 경우 부분틀니의 유지와 지지는 남아있는 치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남아있는 치아가 적은 경우 대부분 잇몸과 주위 조직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분틀니는 상실된 치아 수, 부위, 남아있는 치아의 상태에 따라 틀니의 모양과 크기 등이 달라지며
유지와 지지를 남아있는 치아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틀니보다 안정적이며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치아가 없는 곳의 잇몸 흡수로 인해 틀니의 접합성이 떨어져
수정과정이 필요해질 수 있습니다.


완전틀니는 자연치아가 모두 상실된 무치악 사람에게 적용되는 보철물입니다.
인공치아와 핑크색 재료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 핑크색 재료는 의치상이라고 하는데 인공치아가 심어지는 부분으로
잇몸과 접촉되며 치아 상실에 의해 나타나는 잇몸의 퇴축을 보완하고.
침을 매개로 해서 입안에 유지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인공치아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합니다.

잘 제작된 틀니 사용은 씹는 것과 발음, 심미성을 향상하며 급격한 잇몸 흡수를 방지합니다.

+추가로 임플란트 크라운이 있습니다.+


임플란트는 브릿지 제작 시 상실 치아 주변의 건강한 치아의 삭제를 꺼리거나
부분틀니 사용을 주저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심어
씹는 것의 능률을 높여주고 심리적 안정감을 줍니다.


보철물의 종류도 재료도 다양하므로
병원에서 충분히 상담하고 궁금한 것은 그때그때 물어봄으로써
본인이 무엇을 할 건지를 아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결국은 본인의 선택이니까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