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CQUIRE meriming

심미보철은 뭐가 있을까요?(PFM, 세라믹, 라미네이트) 본문

demtal IQ

심미보철은 뭐가 있을까요?(PFM, 세라믹, 라미네이트)

meriming 2020. 11. 17. 22:5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심미적인 모습이 중요해진 오늘날.
자연치아와 유사한 모양과 색깔을 가진 보철물의 등장과 함께
치아에 충치나 불편함이 없더라도 보기에 안 좋다고 크라운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치아 색깔이나 모양을 위해 라미네이트를 하는 모습이 TV에도 흔히 볼 수 있어요.

 

심미 보철은 비심미적으로 있는 치아를 교정을 하지 않고 보철적인 방법으로 외모를 바꿀 수 있습니다.

선천적으로 온전치 않은 치아의 형태를 바로잡고

변색된 치아의 색을 바꿀 수 있습니다.

 

자연치아와 이질감이 적어 대외활동이 많아진 현대인에게 추천이 됩니다.
심미 보철물들의 장단점을 말씀드려볼게요.


*PFM or PFG(금속 도재관)

 

치과인 참고


PFM이란 메탈(금속) 위에 포셀린(도자기)을 올리는 크라운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크라운 안쪽면은 메탈로, 바깥면은 도자기로 하는 거죠.
PFG는 금(금속) 위에 포셀린을 올리는 거겠죠?

이렇게 어렵게 두 가지 재료를 이용하는 이유는 그만한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안쪽이 금속이면 일단 강도가 우수하고 유지력이 우수합니다.
또한 정확히 맞출 수 있죠.
이 모든 걸 가져가면서 중요한 핵심 장점.
바로 심미적이라는 것입니다.
색도 병원에서 보면서 최대한 환자의 치아색과 비슷하게 의뢰를 하여 심미적으로 완성된 모습을 보이죠.

하지만 이런 식으로 만들면 얇게 하면 깨질 수 있으니 금니(골드크라운)보다는 치아 삭제량이 많습니다.
그리고 치아를 삭제하면서 잇몸에 자극이 있을 수 있고 치아와 잇몸 경계부에서 묘하게 안에 있는 금속이 보일 수 있습니다.
색의 부조화가 생기는 것이고 시간이 많이 지나면 잇몸이 내려가면서 금속이 노출돼 심미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PFM or PFG는 씹는 힘이 적은 앞니나
심미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에게 추천됩니다.
변색된 치아나 치아가 부러졌거나 충치가 생기거나 오래 유지가 돼야 하는 곳에 말이죠.

모든 크라운에서 다 포함된 내용이지만
치아머리 길이가 짧고 신경관이 큰 치아, 치아 경계부가 심하게 좁혀진 치아, 너무 작은 치아, 치아의 맞물림이 특이한 환자는
금기증에 해당됩니다.



*전부 도재관 ex) Ceramic(도자기)

 

에이블 청아치과 참고


전부 도재로 되어있는 ceramic 크라운.
예전에는 많이 썼으나 이제는 그 단점이 드러나 적어지고 있는 추세죠.

세라믹은 당연히 도자기 색으로 명도가 높아 심미적으로 좋습니다.
또한 자연치아와 투명도를 같이 할 수 있어요.
이 말은 자연치아처럼 빛을 투과 시킴을 뜻합니다.
이렇게 해야 크라운인 티가 안 나고 자연치아처럼 이쁘게 나옵니다.
그리고 주위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습니다.

이렇게 이쁜 재료가 적어지고 있는 이유는
비경제적이기 때문입니다.
비용도 그렇지만 외부 충격에 의해 너무 쉽게 파절이 됩니다.
그럼 또다시 만들고 기다리고를 반복합니다.

그래서 누구나에게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주로 심미 요구가 강한 곳인 앞니, 금속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은 됩니다.
금방 깨지므로 이갈이나 금속을 입에 무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비추천입니다.


*라미네이트

 

병원치료비대체얼마? 참고


방송에서 보면 연예인 들이는 무척 하얗습니다.
미백으로도 할 수 있는 한계는 있습니다.
그래서 라미네이트를 선택하죠.

라미네이트는 자연치아에 가까운 색조 표현이 가능하고,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치아 삭제량이 적습니다.

그래서 치아의 단단한 면이 태생적으로 부족한 사람이나 치아 변색이 심하고, 기형치, 치아 배열이 이상한 사람들에게
추천됩니다.

하지만, 금방 탈락하거나 다른 치아보다 너무 튀어나온 것 같다거나 깨지면
고칠 수 없습니다.

치아가 너무 고르지 못하거나 이갈이나 충치가 너무 크고, 윗치아가 아래 치아를 너무 덮으면
추천되지 않아요.
아래 치아가 라미네이트를 건들 수 있기 때문에 금방 탈락되니
이런 경우라면 크라운을 더 생각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크라운을 할지 라미네이트를 할지
선택을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본인의 치아에 따라 틀려져요.
병원에서 꼭 상담을 받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보철학 참고

반응형
Comments